헌집증후군의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나요?

부노트 bunote.com

헌집증후군의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나요?[편집]

헌집증후군의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나요?
정확한 답변 부탁드려요.

답변 :
새집증후군보다 헌집증후군이 더 큰 문제   헌집증후군 발생원인은 헌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이란  오래 된 집이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는 현상을 말한다. 헌집증후군은 낡은 배수관, 장판, 벽지 등 오래 되고 낡은 집에서 발생하는 악취때문이며, 겨울철에 난방을 위해 창문을 꼭꼭 닫아 환기가 되지 않고 또한, 난로와 가습기를 함께 사용하여 집안이 고온다습하게 되면 활발하게 발생하는 곰팡이포자와 세균 등이 원인이 되며, 주방에서 요리시 발생하는 가스렌지 등에서 발생하는 가스 등이 원이이 된다.   헌집증후군의 증상은 낡은 배수관의 세균이나 곰팡이때문에 악취속의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등때문에 두통, 현기증 등이 일어 나며, 난로와 그습기가 만든 고온다습한 집안환경때문에 속 메스꺼움, 피로감, 피부병 등이 유발 되고, 주방에서 발생하는 가스때문에 소화장애, 폐암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헌집증후군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겨울이라 춥더라도 자주 환기를 해주고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청소를 자주 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부담없이 생활 속에서 헌집증후군을 예방할려면-   [생활 속 헌집증후군 예방 10계명] 1. 이불, 카펫을 자주 햇볕에 말려 준다. 2. 이불, 카펫에 베이킹파우더를 약간 뿌려 15분 정도 두었다가 청소기로 빨아 낸다. 3. 가습기는 수시로 깨끗이 닦아내고 적당 시간 유지시켜 준다. 4. 환풍기는 주기적으로 닦아 준다. 5. 물기는 반드시 건조시킨다. 6. 음식물 쓰레기는 배수구에 오래 두지 않고 바로 처리한다. 7. 배수 걸름망과 배수구 안은 그때 그때 깨끗하게 닦아 준다. 8. 세균 번식을 막기위해 배수구 안에 식초를 하룻밤 정도 부어둔다. 9. 음식 조리 시 반드시 환기를 잘 시켜 준다. 10. 주방에 잎이 넓은 공기정화 식물을 기르거나, 참숯, 대나무숯 등을 놓아 둔다.     참고로 잎이 넓은 관엽 식물은 잎 뒷면의 기공을 통해 공기 속 오염물질을 흡수해서 분해시키는 작용을 하며, 숯은 습도를 줄여주고, 수분을 방출하여 습도조절을 자연스럽게 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