疑心生暗鬼

부노트 bunote.com

疑心生暗鬼[편집]

(疑心生暗鬼) 관련 설명[편집]

자기 마음 속에 의심한 바가 있으면 그 마음에서 갖가지 무서운 생각이 솟아 나옴  열자는 「설부편」에서 다음과 같은 우화를 써놓고 있다. 어떤 사람이 가지고 있던 도끼를 잃어 버렸다. 누군가가 훔쳐간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하니, 암만해도 옆집 아들이 수상하다. 자기하고 만났을 때의 거동도 슬금슬금 도망치려는 듯한 태도였고, 안색이나 말투도 어딘가 겁을 먹고 있는 듯 했다. 도끼를 훔친 것은 틀림없이 그놈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런데 잃어버린 도끼는 자기가 산골짜기에 놓아 두었다가 잊어버렸던 것으로 후에 그 곳을 파헤쳤을 때 갑자기 나타났다. 이거 야단 났구나 하고 집으로 돌아왔으나, 그 때 다시 옆집 아들을 보니 이번에는 일거일동이 별로 수상해 보이지 않았다.즉 자기 선입감이 수상하지도 않은 사람을 수상하게 보게 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속담에 의심생암귀라는 것이 생겼다. 또 이런 이야기가 있다.어떤 사람의 뜰에 있는 오동나무가 말라 죽었다. 그러자 옆집 노인이“말라 죽은 오동나무는 재수가 없다는데.” 하고 충고해 주므로, 그 사람은 헐레벌떡 그 나무를 잘라 버렸는데 옆집 노인은 땔감으로 쓸 테니 그 것을 달라고 하므로 화를 벌컥 내며,“그럼 영감님은 자기집 땔감으로 쓰기 위해 나를 속이고 자르게 했구려, 같은 이웃에 살면서 그런 음흉한 짓을 한단 말이오.”하고 노발대발했다고 한다.그럼 이것은 어떻게 해석해야 좋을까? 옆집 노인이 음흉한 생각에서 했다면 다시 말할 필요도 없지만, 그렇지 않았다면 친절한 충고가 상대의 의심암귀에 의해 얼토당토 않은 혐의의 씨가 된 셈이다. 이 이야기를 좀 더 재미있게 꾸민 것이 󰡔한비자󰡕의 「세난편」이다. 그것은 이렇다.송나라에 부자가 살고 있었다. 오랜 장마가 계속되어 저택의 담이 무너졌을 때 그것을 보고 아들이,“빨리 수리해 놓지 않으면 도둑이 들지도 모릅니다.”라고 말하고, 옆집 노인도 같은 충고를 했다. 그러자 그날 밤 과연 도둑이 들어 물건을 훔쳐갔는데 이 부자 집에서는 아들에게는 선견지명이 있다 칭찬하고 옆집 노인에게 암만해도 수상하다고 혐의를 걸었다고 한다. 즉 같은 충고를 해도 듣는 사람의 선입감으로 선견지명이라고도 생각하고 도둑의 혐의도 걸게 된다. 인간의 마음이란 도무지 믿을 것이 못되는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