屋上架屋 옥상가옥

부노트 bunote.com

屋上架屋 옥상가옥[편집]

   집 옥      윗 상      시렁 가      집 옥  

옥상가옥(屋上架屋) 관련 설명[편집]

마루 위에 마루를 다시 까는 것과 같다는 말로 아무런 가치가 없다는 뜻  

후한말의 난세, 소위 삼국시대에 촉과 오를 멸망시킨 위는 천하를 통일하자 도읍을 낙양에다 두었다.

한편 멸망은 당했으나 오의 옛 도읍지였던 건업은 양자강 기슭에 자리잡고 뒤로는 산이 둘려 있어, 풍광명미한 도성으로 여전히 강남의 중심지였다.

그 무렵에 낙양에 유중이란 시인이 있어 현란한 양도의 번화함과 풍경을 칭찬하는 시를 지었다.

그 시에 「三二京, 四三都」라는 글귀가 있고 그 표현이 특히 뛰어났다고 하여 평판이 높았다.

도읍 사람들은 모두 앞을 다투어 가며 이 시를 베껴 벽에 붙여놓고 감상했다. 그래서 종이가 부족하게 되어 「낙양의 종이 값이 올랐다」는 상황을 빚었다.

하나 이 시를 본 사태부(삼공의 하나)라는 고관이 코웃음을 치며 말했다.

“뭐야 저 시는 마치 지붕 밑에 또 지붕을 만든 것(屋下架屋) 같구나, 똑같은 소리를 반복한데 지나지 않아.

저런 것을 가지고 떠들어대는 놈들의 심사를 모르겠다.”

또 다른 하나의 이야기. 이것은 북제인 안지추라는 학자가 지은 "안씨가훈"이란 책의 서문에 이렇게 씌어 있다.

“진이래 훈고학이란 유학의 연구 방법이 정해져서 학자들은 서로 다투어 옛 학자들의 저술한 책을 현대문으로 고쳐 쓰는 일을 하고 있다.

하나 이들 학자들이 쓰고 있는 것은 다 그 이론을 세우는 방법이 중복되어, 같은 것을 되풀이하고 있는데 지나지 않는다.

마치 지붕 밑에 지붕을 세우고 마루 위에 다시 마루를 까는 것과 같다.

헛된 노작(勞作)일 분으로 아무런 가치도 없다.”

이상과 같이 원전(原典)은 다 「屋下架屋」으로 되어 있으나, 오늘날에는 보통 「屋上架屋」으로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