刮目相對 괄목상대

부노트 bunote.com

刮目相對 괄목상대[편집]

   긁을 괄      눈 목      서로 상      대할 대  

괄목상대(刮目相對) 관련 설명[편집]

눈을 비비고 자세히 봄.(남의 학문이나 재주가 현저하게 진보하였음을 가리키는 말)  삼국시대 때 오나라에 유명한 장수가 있었는데 이름이 여몽이었다. 그는 어려서 배우 가난하여 제대로 먹고 입지를 못했고 형제가 없어 무척 외롭게 자라났다. 그러나 그는 비록 글 읽을 형편이 못되어 무식하지만 가슴에 큰 뜻을 지녀 무공을 쌓아 뒤에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어느 날 손권(삼국 때 오나라 개국의 시조)이 여몽과 장흠을 불러 놓고 “자네 두 사람은 이 나라의 대관들이 아니오? 하니 앞으로는 글을 많이 읽어 학문을 익히는 것이 좋겠소” 하고 권했다.“제가 지금 군에서 매일 눈 코 뜰 새 없이 바빠 글 읽을 겨를이 없을 겁니다.”하고 여몽이 대답했다. 손권이 여몽의 말을 들은 후 고개를 저으면서 웃음을 지었다.“자네가 내 뜻을 오해했나 보군. 내가 그대더러 경학박사가 되라는 것이 아니고 그저 옛날 사람들이 남긴 기록, 예컨대 경서같은 책을 많이 읽어두라는 말일세. 그대가 군무에 바쁘다곤 하지만 어디 나만큼이야 바쁘겠소? 공자도 <밤낮 식음을 폐하면 유익됨이 없으되 가장 유익한 것은 독서이니라>라고 했고 한나라 광무제도 당년에 싸울 때 매일 중요 기물을 처리하느라 바쁨에 쫓길 때도 책이 손을 떠나랴 하고 열심히 글을 읽었소. 그리고 조조도 스스로 책 읽기를 즐긴다고 자처했는데 그대들은 어이 스스로를 힘쓰지 않겠단 말이오?”이리하여 여몽은 그날부터 마음과 힘을 돋우어 글을 읽어 책 속에서 많은 지식을 얻었고 많은 사물의 이치를 깨달았다. 그리하여 그 당시의 한 노학자와 전문가들로부터 여몽의 학식에 못미침을 자탄했다.그 뒤 노숙이 주유의 직위를 이어 받았다. 하루는 노숙이 여몽을 찾아가 국정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이론이 고매하고 식견이 밝음을 발견하고 무한히 놀랐다. 노숙은 여몽의 어깨를 어루만지며 “나는 노형이 전에 공부를 못하고 오직 무예만이 능한 줄로 알았는데 오늘 만나 보니 노형의 학식이 이다지도 넓고 깊으니 이제는 당년의 오하아몽(吳下阿蒙)이 아니구려!”하고 찬사를 보내자 여몽이 미소를 지으면서 대답했다. “사람이 사흘간 헤어졌다 만나면 마땅히 (다른 눈으로 쳐다보다) 해야 하는 법입니다.”학문이나 재주 또는 사업에 보잘 것 없던 사람이 훌륭하게 되었을 때“그 사람은 이젠 옛날 사람이 아니야” 라고 찬사를 보낼 때 기비오하아몽(己非吳下阿蒙)이란 말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