喪家之狗 상가지구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 상가지구(喪家之狗) 관련 설명 ==
== 상가지구(喪家之狗) 관련 설명 ==
  궁상맞은 초라한 모습으로 이곳저곳 기웃거리며 먹을 것을 찾아다닌다는 말(초상난 집의 주인 없는 개)   
  궁상맞은 초라한 모습으로 이곳저곳 기웃거리며 먹을 것을 찾아다닌다는 말(초상난 집의 주인 없는 개)  노(魯)나라 정공(定公) 14년 공자(孔子)는 그의 조국인 노나라를 위해서 총리대신의 자리로 올라가기까지 다년간 직접 벼슬을 살며 선정을 베풀어 이상적 사회를 이룩해 보려고 노력을 다했다. 그러나 왕족을 자랑하고 권력을 휘두르는 삼환(三桓)씨와 의견이 대립됐던 관계로 몇 번이나 충돌을 거듭한 끝에 감투를 집어던지고 야인으로 돌아왔다. 그로부터 그는 조정에서는 이상을 살릴 도리가 없음을 개탄하고 행여나 자신의 뜻을 알아주는 제왕은 없을까 해서 노나라를 떠나 중원의 여러 나라 위(衛)․조(曺)․송(宋)․정(鄭)․진(陳)․채(蔡)를 떠돌아 다니기 10여 년, 공자가 정나라로 갔던 때의 일이다.고을 성문 밖에 이르렀을 즈음 공자는 그만 어물어물 하는 사이 제자들과 떨어져서 서로 길을 잃고 말았다. 공자는 성곽 동쪽 문에 앉아서 제자들이 찾아오기를 기다리기로 했다. 이 때 공자의 초라한 모습을 힐끗힐끗 돌아보다가 성 안으로 들어갔던 정나라 사람 하나가 스승을 찾아 헤매는 제자들을 만났다.앞장서서 공자를 찾던 자공을 보고“저 동쪽 대문 곁에 있는 사람이 혹시 당신의 스승이나 아니지 모르겠소. 그 얼굴은 성현천자 요임금을 닮았고 그 목덜미는 얼도-순(舜)․우(禹) 두 임금을 섬긴 훌륭한 재상-와 같고 그 어깨는 자산(공자보다 먼저 낫던 정나라의 재상)과 꼭 같이 생겼습니다마는 한 가지 틀리는 점은 허리에서 아랫도리가 서너치 짧아 보이고 피로해서 풀이 죽은 모습은 축 늘어진 󰡔상갓집 개󰡕와 비슷합니다.”정나라 사람의 이 말을 듣자 제자들은 이구동성으로 소리쳤다.“옳다. 우리 스승님이다.”곧 동쪽 대문을 향해서 달려 갔다. 과연 공자는 그 때까지 땅바닥에 앉아 있었다.
 
 
노(魯)나라 정공(定公) 14년 공자(孔子)는 그의 조국인 노나라를 위해서 총리대신의 자리로 올라가기까지  
 
다년간 직접 벼슬을 살며 선정을 베풀어 이상적 사회를 이룩해 보려고 노력을 다했다.  
 
그러나 왕족을 자랑하고 권력을 휘두르는 삼환(三桓)씨와 의견이 대립됐던 관계로 몇 번이나 충돌을 거듭한 끝에  
 
감투를 집어던지고 야인으로 돌아왔다.  
 
 
그로부터 그는 조정에서는 이상을 살릴 도리가 없음을 개탄하고 행여나 자신의 뜻을 알아주는 제왕은 없을까 해서  
 
노나라를 떠나 중원의 여러 나라 위(衛)․조(曺)․송(宋)․정(鄭)․진(陳)․채(蔡)를 떠돌아 다니기 10여 년,  
 
공자가 정나라로 갔던 때의 일이다.
 
 
고을 성문 밖에 이르렀을 즈음 공자는 그만 어물어물 하는 사이 제자들과 떨어져서 서로 길을 잃고 말았다.  
 
공자는 성곽 동쪽 문에 앉아서 제자들이 찾아오기를 기다리기로 했다.  
 
이 때 공자의 초라한 모습을 힐끗힐끗 돌아보다가 성 안으로 들어갔던 정나라 사람 하나가 스승을 찾아 헤매는 제자들을 만났다.
 
앞장서서 공자를 찾던 자공을 보고
 
“저 동쪽 대문 곁에 있는 사람이 혹시 당신의 스승이나 아니지 모르겠소.  
 
그 얼굴은 성현천자 요임금을 닮았고  
 
그 목덜미는 얼도-순(舜)․우(禹) 두 임금을 섬긴 훌륭한 재상-와 같고  
 
그 어깨는 자산(공자보다 먼저 낫던 정나라의 재상)과 꼭 같이 생겼습니다마는  
 
한 가지 틀리는 점은 허리에서 아랫도리가 서너치 짧아 보이고 피로해서 풀이 죽은 모습은  
 
축 늘어진 '상갓집 개'와 비슷합니다.
 
 
정나라 사람의 이 말을 듣자 제자들은 이구동성으로 소리쳤다.
 
“옳다. 우리 스승님이다.
 
동쪽 대문을 향해서 달려 갔다.  
 
과연 공자는 그 때까지 땅바닥에 앉아 있었다.




[[분류:한자]][[분류:고사성어]]
[[분류:한자]][[분류:고사성어]]
부노트 bunote.com에서의 모든 기여는 cc-by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노트 bunote.com: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 × ÷ ¹ ² ³ ½ € † ← → ℃ ―</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ref>+</ref></charinsert> <charinsert><references/></charinsert>
<charinsert>{{풀기:+}}</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넘겨주기 [[+]]</charinsert> <charinsert>{{기본정렬:+}}</charinsert>
<charinsert>{{토막글|+}}</charinsert> <charinsert>{{IPA|+}}</charinsert> <charinsert>{{lang||+}}</charinsert> <charinsert>{{llang||+}}</charins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