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공여

부노트 bunote.com
부노트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11월 25일 (화) 12:51 판 (새 문서: ==신용공여== 신용공여 Credit Exposure 양도자산의 담보가치만으로 자산보유자가 목표로 하는 신용평가등급을 얻을 수 없을 경우 ABS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신용공여

신용공여

Credit Exposure

양도자산의 담보가치만으로 자산보유자가 목표로 하는 신용평가등급을 얻을 수 없을 경우 ABS에 대해 지급보증(전부 또는 일부)을 업무수탁기관이 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의 유동성 공여기관은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현금흐름이 일정 기간 지연되거나 일정하지 않아 증권의 원리금을 예정된 기일에 지급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원리금 지급을 한시적으로 보장하는 것이다. 이 신용보완 제공기관 자체의 신용도가 충분히 높아야 하며 보증이나 유동성 공여 외에 부수적인 금융으로서 은행은 유동화자산의 이자율 또는 지급통화와 유동화증권 이자율 또는 지급통화 간의 불일치에 따른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SPV와 스왑(SWAP) 거래를 체결하기도 한다.
한국자산관리공사가 ABS를 발행하였을 때, 업무수탁은행(Trustee)인 국민은행(1차 ABS)이 1,000억원, 주택은행(2차 ABS)이 1,300억원, 산업은행(3차 ABS)이 1,000억원 한도 내에서 신용을 공여 하였으며, 4차 ABS에서는 국민은행이 450억원의 신용을 공여하여 채권투자자에 대한 원리금지급의 안전성을 확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