懷橘 회귤

부노트 bunote.com
부노트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월 13일 (수) 14:51 판 (→‎회귤(懷橘) 관련 설명)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懷橘 회귤[편집]

   품을 회      귤 귤  

회귤(懷橘) 관련 설명[편집]

효성이 지극하다는 말  

동한 말엽에 육적(자는 공기 삼국시대 오나라 사람, 대학자며 세칭 24효자 중의 한 사람)이 여섯 살이었던

어린 시절에 구강에 살고 있는 원술(자는 공로)을 뵈러 갔었다.

원술이 자기를 만나러 온 어린 손님 육적을 맞이하고는 귤을 쟁반에 담아 육적에게 다정히 대접하였다.

육적은 그 귤을 먹는 두 마는 둥 하면서 원술 어른이 눈치 채지 않게 슬며시 귤 세 개를 품 속에 감춰 넣었다.

돌아갈 때가 되어 육적이 원술 어른께 고별 인사를 드리고 막 자리에서 일어서려고 할 때 품 속에 간직했던 귤이 그만 방바닥으로 떨어져 굴렀다.

이상히 여긴 원술이 육적에게 조심스레 물어 보았다.


“육랑은 우리 집에 온 손님인데 왜 먹으라고 내 놓은 귤을 먹지도 않고 품 속에 넣어 두었지?”

육적은 입장이 난처하였으나 마음 먹고 한 일이라 거짓없이 그 연유를 말하였다.


“사실은 이 귤을 품어 가서 집에 계시는 어머님께 드리려고 했어요.”

이 말을 들은 원술은 어버이를 위하는 효성스런 마음이 애틋하고 대견하여 육적의 머리를 쓰다듬으며,

“육랑같이 착하고 어버이를 섬길 줄 아는 효성스러운 어린이는 처음 보았다.

이거 별거 아니지만 어머님께 갖다 올려라.”하며 칭찬을 하면서 귤을 더 내 주었다.


선조 때 사람 박인노가

「반중 조홍감이 곱게도 보이나니,

귤이 아니라도 품음직 하다마는 품어가도 반길 사람 없으니

그를 서러워 하노라.」라는 시조를 읊었는데

중장 종장의 글귀는 역시 이 회귤의 고사를 빌어 어버이 안 계시므로 봉양 못함을 슬퍼하는 효심을 노래 불렀던 것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