愚公移山 우공이산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 우공이산(愚公移山) 관련 설명 ==
== 우공이산(愚公移山) 관련 설명 ==
  끊임없이 노력하면 마침내 성공한다는 말   
  끊임없이 노력하면 마침내 성공한다는 말  태행산과 왕옥산은 사방 7 백 리, 높이 1 만 길이나 되며, 원래는 기ㅜ의 남쪽 하양의 북쪽에 있었다. 북산의 우공이란 사람은 나이 이미 90에 가까와 이 두 산에 이웃하며 살고 있었으나 산이 북쪽을 막아 왕래가 불편하므로 온 집안 사람을 불러 모아 놓고 이렇게 의논을 했다.“나는 너희들과 있는 힘을 다 해서 험한 산을 깎아 평지로 만들고 예주의 남쪽까지 한 길을 닦으며 또 한수의 남쪽가지 갈 수 있도록 하고 싶은데 어떻게들 생각하느냐?”일동은 일제히 찬성한다는 뜻을 표명했으나 그 마누라만이 의심스러움을 말했다.“당신의 힘으로는 작은 언덕도 파헤치지 못할 것인데 태행이나 왕옥같은 큰 산을 어떻게 처리하겠습니까? 거기다 파낸 흙이나 돌은 어디다 처치할 생각입니까?”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그 흙이나 돌은 발해의 해변이나 은토의 끝에라도 내다 버리지.”하고 대단한 기세여서 결국 결정이 되어 우공은 세 아들고 손자를 데리고 돌을 깨고 흙을 파내어 그것을 발해 해변으로 운반하기 시작했다.우공의 옆집에 사는 경성씨의 과부댁에는 겨우 7~8세 밖에 안 되는 아들이 있었는데, 그 아이도 아주 좋아하며 같이 거들었지만 1년이 지나서 겨우 발해까지 한 번 왕복을 끝내는 정도였다. 황하가에 사는 지수라는 사람이 그것을 보고 웃으며 우공에게 충고했다.“영감님의 어리석음도 대단하군요. 앞날이 얼마 남지 않은 영감님의 그 약한 힘으로는 산의 한 쪽 귀퉁이도 파내지 못할텐데 이런 큰 산의 흙이나 돌을 어쩌자는 셈입니까?”하자 북산의 우공은 딱하다는 듯 탄식을 하며 이렇게 대답했다.“자네 같은 천박한 생각밖에 못하는 사람에게는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겠지. 자네의 생각은 저 과부댁 외아들의 생각만도 못해. 알겠나? 가령 앞날이 얼마 안 남은 내가 죽는다고 해도 아이들은 남고, 아이들은 다시 손자를 낳고, 그 손자도 또 아이를 낳고, 그 아이가 또 아이를 낳고, 손자가 생겨 자자손손 끊이지 않네. 그런데 산은 더 커지지는 않아. 그렇다면 언젠가는 틀림없이 평지가 될 때가 오지 않겠나?”지수는 그 말을 듣고 어안이 벙벙해졌으나, 더 놀란 것은 그 두 산의 주인인 산신이다. 산을 파내는 일이 언제까지 계속되어서는 큰 일이라고 그 사정을 천제에게 호소했으므로, 천제는 우공의 진심에 감탄, 힘센 신인 과아씨의 두 아들에게 명하여 태행․왕옥 두 산을 등에 짊어지게 한 다음, 하나는 삭동의 땅으로, 하나는 옹남의 땅으로 옮겨 놓았으므로 그 후부터는 익주의 남, 한수의 남에는 낮은 야산도 보이지 않게 되었다.이상이 󰡔열자󰡕의 「탕문편」에 나오는 「우공, 산을 옮긴다」의 우화의 줄거리다. 평야 개척을 주제로 한 토지 전설로서의 민속학적 의의도 충분히 엿볼 수 있으나 그것보다도 애써 그치지 않으면 대사도 반드시 성공한다는 비유로서 읽는 것이 재미있다. 우공과 지수와 그 누가 참된 우고 지냐 하는 것도 문제다. 그래서 이 우화를 평해서 “무릇 천하지사, 우공의 마음이라면 늦어도 한 번은 성취될 것이다. 그러나 세상에서 지라는 말을 듣는 사람은, 대개 지수같은 마음으로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말을 들으면 그 어리석음을 웃을 정도로 아무 일도 성취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세상에서 소위 우란 도리어 지가 되고, 세상에서 말하는 자는 도리어 우다.” 라고 말하고 있다.
 
태행산과 왕옥산은 사방 7 백 리, 높이 1 만 길이나 되며, 원래는 남쪽 하양의 북쪽에 있었다.  
 
북산의 우공이란 사람은 나이 이미 90에 가까와 이 두 산에 이웃하며 살고 있었으나  
 
산이 북쪽을 막아 왕래가 불편하므로 온 집안 사람을 불러 모아 놓고 이렇게 의논을 했다.
 
 
“나는 너희들과 있는 힘을 다 해서 험한 산을 깎아 평지로 만들고 예주의 남쪽까지 한 길을 닦으며  
 
또 한수의 남쪽가지 갈 수 있도록 하고 싶은데 어떻게들 생각하느냐?
 
일동은 일제히 찬성한다는 뜻을 표명했으나 그 마누라만이 의심스러움을 말했다.
 
 
“당신의 힘으로는 작은 언덕도 파헤치지 못할 것인데 태행이나 왕옥같은 큰 산을 어떻게 처리하겠습니까?  
 
거기다 파낸 흙이나 돌은 어디다 처치할 생각입니까?”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그 흙이나 돌은 발해의 해변이나 은토의 끝에라도 내다 버리지.
 
하고 대단한 기세여서 결국 결정이 되어 우공은 세 아들고 손자를 데리고 돌을 깨고 흙을 파내어  
 
그것을 발해 해변으로 운반하기 시작했다.
 
 
우공의 옆집에 사는 경성씨의 과부댁에는 겨우 7~8세 밖에 안 되는 아들이 있었는데,  
 
그 아이도 아주 좋아하며 같이 거들었지만 1년이 지나서 겨우 발해까지 한 번 왕복을 끝내는 정도였다.  
 
황하가에 사는 지수라는 사람이 그것을 보고 웃으며 우공에게 충고했다.
 
“영감님의 어리석음도 대단하군요.  
 
앞날이 얼마 남지 않은 영감님의 그 약한 힘으로는 산의 한 쪽 귀퉁이도 파내지 못할텐데  
 
이런 큰 산의 흙이나 돌을 어쩌자는 셈입니까?
 
하자 북산의 우공은 딱하다는 듯 탄식을 하며 이렇게 대답했다.
 
 
“자네 같은 천박한 생각밖에 못하는 사람에게는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겠지.  
 
자네의 생각은 저 과부댁 외아들의 생각만도 못해. 알겠나?  
 
가령 앞날이 얼마 안 남은 내가 죽는다고 해도 아이들은 남고,  
 
아이들은 다시 손자를 낳고,  
 
그 손자도 또 아이를 낳고, 그 아이가 또 아이를 낳고, 손자가 생겨 자자손손 끊이지 않네.  
 
그런데 산은 더 커지지는 않아. 그렇다면 언젠가는 틀림없이 평지가 될 때가 오지 않겠나?
 
 
지수는 그 말을 듣고 어안이 벙벙해졌으나, 더 놀란 것은 그 두 산의 주인인 산신이다.  
 
산을 파내는 일이 언제까지 계속되어서는 큰 일이라고 그 사정을 천제에게 호소했으므로,  
 
천제는 우공의 진심에 감탄, 힘센 신인 과아씨의 두 아들에게 명하여 태행․왕옥 두 산을 등에 짊어지게 한 다음,  
 
하나는 삭동의 땅으로, 하나는 옹남의 땅으로 옮겨 놓았으므로  
 
그 후부터는 익주의 남, 한수의 남에는 낮은 야산도 보이지 않게 되었다.
 
이상이 '열자'의 「탕문편」에 나오는 「우공, 산을 옮긴다」의 우화의 줄거리다.  
 
 
평야 개척을 주제로 한 토지 전설로서의 민속학적 의의도 충분히 엿볼 수 있으나  
 
그것보다도 애써 그치지 않으면 대사도 반드시 성공한다는 비유로서 읽는 것이 재미있다.  
 
우공과 지수와 그 누가 참된 우고 지냐 하는 것도 문제다.  
 
 
그래서 이 우화를 평해서  
 
“무릇 천하지사, 우공의 마음이라면 늦어도 한 번은 성취될 것이다.  
 
그러나 세상에서 지라는 말을 듣는 사람은, 대개 지수같은 마음으로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말을 들으면 그 어리석음을 웃을 정도로 아무 일도 성취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세상에서 소위 우란 도리어 지가 되고, 세상에서 말하는 자는 도리어 우다.” 라고 말하고 있다.




[[분류:한자]][[분류:고사성어]]
[[분류:한자]][[분류:고사성어]]
부노트 bunote.com에서의 모든 기여는 cc-by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노트 bunote.com: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 × ÷ ¹ ² ³ ½ € † ← → ℃ ―</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ref>+</ref></charinsert> <charinsert><references/></charinsert>
<charinsert>{{풀기:+}}</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넘겨주기 [[+]]</charinsert> <charinsert>{{기본정렬:+}}</charinsert>
<charinsert>{{토막글|+}}</charinsert> <charinsert>{{IPA|+}}</charinsert> <charinsert>{{lang||+}}</charinsert> <charinsert>{{llang||+}}</charins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