塗炭之苦 도탄지고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 도탄지고(塗炭之苦) 관련 설명 ==
== 도탄지고(塗炭之苦) 관련 설명 ==
  쓰라림을 당하는 백성의 고생   
  쓰라림을 당하는 백성의 고생  요염한 미녀 매희의 품안에 들어 주지육림의 세월을 보내온 하나라의 걸왕과 은나라의 주왕은 도리를 그리치고 나라를 멸망케 한 제왕으로서 걸주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리만치 중국사상 대표적인 폭군이다.이 하(夏)왕조 최후의 천자인 걸왕의 학정에 군사를 일으켜서 무력혁명을 감행, 걸왕의 대군을 명조산에서 격파한 다음 걸왕을 쫓아 버리고 천자의 자리를 차지한 인물이 은나라 탕왕이다. 이 탕왕이 반란을 일으킬 때 수만 군중을 앞에 놓고 이른바 출진의 서약을 선언한 말 가운데 『백성은 도탄에 빠졌다』는 유명한 귀절이 있다. 탕왕은 군사를 몰고 걸왕과 싸워서 크게 이겼다. 개선 장군이 되어 자기 고장으로 돌아왔을 때 탕왕은 다시 제후를 모아놓고 일장 연설을 하는 가운데 걸왕의 포악무도를 다음과 같이 공격했다.“하왕은 덕을 멀리하고 폭위만을 떨쳐 백성에게 학정을 가하였다. 그대들 만방의 백성은 그의 흉해를 입고 도독의 아픔을 이기지 못하였기 이제 그대들의 무고한 고통을 상하의 신기에 고하노라. 천도는 언제나 착한 데 복 주고 음란에 화를 준다. 하늘은 이제 걸왕에게 재앙을 내리고 이로써 그의 죄를 밝혔도다.”이렇듯 격렬한 말로써 걸왕의 죄악을 밝히고 하늘은 이미 하왕조를 버렸으며 은나라를 새로이 내려주게 되었음을 정당화해서 강조하기에 온갖 힘을 다 썼다.이 밖에도 걸왕을 응징, 비난한 말은 고전 속에 허다히 볼 수 있지만 같은 서경의 중훼지고에 보면 이런 기록이 있다.“유하혼덕하여 백성은 도탄에 빠졌다.”다시 말하면 탕왕의 신하였던 중훼가 탕왕에게 올린 말을 널리 민중에게 고했다. 걸왕의 천인무도한 부덕과 악행 때문에 백성이 받아야 했던 고난을 『도탄에 빠졌다』는 한 마디로 드러냈다.이것이 『도탄의 괴로움』이니 『도탄의 민생고』니 하는 말의 어원이다. 물론 백성이 도탄의 고통 속에서 신음했던 일은 비단 하왕조 말엽인 걸왕의 시대에만 있었던 사실은 아니다.  은나라 주왕도 마찬 가지다. 그리고 고대의 많은 제왕들의 시대에서 얼마든지 찾아 볼 수 있다.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유사 이래 수 천년의 인류사의 대부분이 연속적인 도탄속에 괴로움이 되풀이 된 것이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도탄(塗炭)이란 글자 그대로 흙탕물에만 빠져도 괴로운데 숯불에까지 빠지는 괴로움과 두려움을 합쳐서 받는 고통이니 오죽할 것인가?
 
요염한 미녀 매희의 품안에 들어 주지육림의 세월을 보내온 하나라의 걸왕과 은나라의 주왕은 도리를 그리치고 나라를 멸망케 한 제왕으로서  
 
걸주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리만치 중국사상 대표적인 폭군이다.
 
이 하(夏)왕조 최후의 천자인 걸왕의 학정에 군사를 일으켜서 무력혁명을 감행, 걸왕의 대군을 명조산에서 격파한 다음 걸왕을 쫓아 버리고  
 
천자의 자리를 차지한 인물이 은나라 탕왕이다. 이 탕왕이 반란을 일으킬 때 수만 군중을 앞에 놓고 이른바 출진의 서약을 선언한 말 가운데  
 
『백성은 도탄에 빠졌다』는 유명한 귀절이 있다.  
 
탕왕은 군사를 몰고 걸왕과 싸워서 크게 이겼다.  
 
 
개선 장군이 되어 자기 고장으로 돌아왔을 때 탕왕은 다시 제후를 모아놓고 일장 연설을 하는 가운데 걸왕의 포악무도를 다음과 같이 공격했다.
 
“하왕은 덕을 멀리하고 폭위만을 떨쳐 백성에게 학정을 가하였다. 그대들 만방의 백성은 그의 흉해를 입고 도독의 아픔을 이기지 못하였기  
 
이제 그대들의 무고한 고통을 상하의 신기에 고하노라. 천도는 언제나 착한 데 복 주고 음란에 화를 준다.  
 
하늘은 이제 걸왕에게 재앙을 내리고 이로써 그의 죄를 밝혔도다.
 
 
이렇듯 격렬한 말로써 걸왕의 죄악을 밝히고 하늘은 이미 하왕조를 버렸으며 은나라를 새로이 내려주게 되었음을 정당화해서  
 
강조하기에 온갖 힘을 다 썼다.
 
이 밖에도 걸왕을 응징, 비난한 말은 고전 속에 허다히 볼 수 있지만 같은 서경의 중훼지고에 보면 이런 기록이 있다.
 
“유하혼덕하여 백성은 도탄에 빠졌다.
 
다시 말하면 탕왕의 신하였던 중훼가 탕왕에게 올린 말을 널리 민중에게 고했다.  
 
걸왕의 천인무도한 부덕과 악행 때문에 백성이 받아야 했던 고난을 『도탄에 빠졌다』는 한 마디로 드러냈다.
 
이것이 『도탄의 괴로움』이니 『도탄의 민생고』니 하는 말의 어원이다.  
 
물론 백성이 도탄의 고통 속에서 신음했던 일은 비단 하왕조 말엽인 걸왕의 시대에만 있었던 사실은 아니다.   
 
은나라 주왕도 마찬 가지다. 그리고 고대의 많은 제왕들의 시대에서 얼마든지 찾아 볼 수 있다.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유사 이래 수 천년의 인류사의 대부분이 연속적인 도탄속에 괴로움이 되풀이 된 것이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도탄(塗炭)이란 글자 그대로 흙탕물에만 빠져도 괴로운데 숯불에까지 빠지는 괴로움과 두려움을 합쳐서 받는 고통이니 오죽할 것인가?




[[분류:한자]][[분류:고사성어]]
[[분류:한자]][[분류:고사성어]]
부노트 bunote.com에서의 모든 기여는 cc-by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노트 bunote.com: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 × ÷ ¹ ² ³ ½ € † ← → ℃ ―</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ref>+</ref></charinsert> <charinsert><references/></charinsert>
<charinsert>{{풀기:+}}</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넘겨주기 [[+]]</charinsert> <charinsert>{{기본정렬:+}}</charinsert>
<charinsert>{{토막글|+}}</charinsert> <charinsert>{{IPA|+}}</charinsert> <charinsert>{{lang||+}}</charinsert> <charinsert>{{llang||+}}</charins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