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입자본이익률

부노트 bunote.com
부노트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12월 12일 (금) 23:56 판 (새 문서: ==납입자본이익률== 납입자본이익률 Return on Paid-In Capital 납입자본금에 대한 연간 세후순이익의 비율로 회사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납입자본이익률[편집]

납입자본이익률

Return on Paid-In Capital

납입자본금에 대한 연간 세후순이익의 비율로 회사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데 이용되는 경영분석 지표이다. 즉, 연간이익금을 평균납입자본금으로 나누어 얻은 비율로서, 납입자본이익률=당기순이익/평균납입자본금×100 으로 계산된다. 납입자본이익률은 그 회사의 배당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배당률에 비해 납입자본이익률이 높을수록 증자나 배당증가 여력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연 2회 결산하는 회사는 1결산기의 이익을 2배 해서 연간이익금으로 환산 후 그 결산기의 평균납입자본금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