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지수옵션거래

부노트 bunote.com
부노트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11월 26일 (수) 14:21 판 (새 문서: ==주가지수옵션거래== 주가지수옵션거래 stock index option 옵션(option)이란 말 그대로 무엇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는데, 특정 자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주가지수옵션거래[편집]

주가지수옵션거래

stock index option

옵션(option)이란 말 그대로 무엇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는데, 특정 자산을 사전에 정한 가격으로 지정된 날짜 또는 그 이전에 매수하거나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하며 옵션 거래는 이러한 권리를 매매하는 거래를 말한다. 금융시장에서는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상품이나 유가증권 등의 기초자산(매매 대상)을 사거나 상품이나 유가증권 등의 기초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콜옵션(call option), 기초자산을 팔 수 있는 권리를 풋옵션(put option)이라 한다. 만약 KOSPI200 지수를 매매 대상으로 하는 주가지수 옵션 시장에서 2001년 12월 물을 50포인트에 살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가정한다면, 이 때 주가지수 옵션의 매매 대상이 되는 기초자산은 KOSPI200 지수이고, 행사가격은 50포인트, 옵션 만기는 12월인 콜옵션이 된다.
옵션에서 말하는 행사가격은 선물로 말하면 선물가격에 해당한다. 향후 지수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는 투자가는 콜옵션을 매수하거나 풋옵션을 매도하는 거래를 하면 되고, 지수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투자가는 풋옵션을 사들이거나 콜옵션을 매도하면 된다. 이처럼 옵션은 선물처럼 장래 일정시점에 특정 대상물을 사고 판다는 점에서 선물과 거의 유사한 개념이다. 또한, 선물과 마찬가지로 일일정산을 통해 매일매일 투자가의 이익과 손실을 계좌에 반영하고 만기나 매매시 현금결제를 통해 계약 관계를 청산한다. 그러나 선물의 경우 정해진 만기일에 자신에게 유리하든 유리하지 않든 선물 매수자는 선물을 매수해야 하고 매도자는 매도해야 하지만, 옵션 매수자는 자신에게 유리하면 권리를 행사하고 이롭지 않으면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단 권리를 갖는 대가로 그에 해당되는 일정액의 부담금(risk premium)을 옵션매도자에게 지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