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적정성

부노트 bunote.com
부노트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11월 30일 (일) 21:35 판 (새 문서: ==자본적정성== 자본적정성 capital adequacy 금융기관이 자산의 부실 등으로 영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흡수하기 위해 확충해 놓...)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자본적정성[편집]

자본적정성

capital adequacy

금융기관이 자산의 부실 등으로 영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흡수하기 위해 확충해 놓고 있는 자기자본의 정도를 말함. 일반적으로 금융기관은 자기자본 규모가 클수록 영업상 발생할 수 있는 손실에 대처해 나갈 능력이 더 많은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금융기관의 보유 위험자산 규모에 비하여 어느 정도 자기자본을 확충해 놓고 있는지가 금융기관의 생존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됨. 금융기관 중 은행의 자본적정성 정도는 국제적으로 통일된 국제결제은행(BIS)기준의 자기자본비율로서 주로 판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