百發百中 백발백중: 두 판 사이의 차이

부노트 bunote.com
(새 문서: ==百發百中 백발백중== 일백 백 필 발 일백 백 가운데 중 == 백발백중(百發百中) 관련 설명 == 쏘는 대...)
 
 
4번째 줄: 4번째 줄:


== 백발백중(百發百中) 관련 설명 ==
== 백발백중(百發百中) 관련 설명 ==
  쏘는 대로 꼭꼭 맞음  총, 활 같은 것이 겨눈 곳에 꼭꼭 만즌다. 앞서 예측한 일들이 꼭꼭 들어 맞다. 전국시대 때 초나라에 활 잘 쏘는 사람이 있었는데 양유기라고 불렀다. 그는 활 쏘는데 남달리 뛰어난 재주가 있었다. 백 보나 되는 먼 거리에서도 삼사 푼밖에 안 되는 버들잎들을 꼭꼭 쏘아 맞추곤 했다. 따라서 어느 버들잎이라도 가리켜 맞추라면 그를 겨냥하여 쏘아, 날아가는 화살은 귀신이 곡할 정도로 명중시켰다. 그리하여 주위 사람들이 그의 활 솜씨를 가리켜 백보천양 또는 백발백중이란 말로 그의 절기를 칭찬하였다. 이것은 사기에 기록된 고사로서 무슨 일을 할 때 절대적인 자신이 있거나, 어떤 일을 분석할 때 어떠어떠하게 발전해 갈 것이라는 예측대로 그 결과가 들어맞는 것을 칭찬해 일컫는 말이다.
  쏘는 대로 꼭꼭 맞음  총, 활 같은 것이 겨눈 곳에 꼭꼭 맞는다.  
 
앞서 예측한 일들이 꼭꼭 들어 맞다.  
전국시대 때 초나라에 활 잘 쏘는 사람이 있었는데 양유기라고 불렀다.  
그는 활 쏘는데 남달리 뛰어난 재주가 있었다.  
 
백 보나 되는 먼 거리에서도 삼사 푼밖에 안 되는 버들잎들을 꼭꼭 쏘아 맞추곤 했다.  
따라서 어느 버들잎이라도 가리켜 맞추라면 그를 겨냥하여 쏘아, 날아가는 화살은 귀신이 곡할 정도로 명중시켰다.  
 
그리하여 주위 사람들이 그의 활 솜씨를 가리켜 백보천양 또는 백발백중이란 말로 그의 절기를 칭찬하였다.  
이것은 사기에 기록된 고사로서 무슨 일을 할 때 절대적인 자신이 있거나,  
어떤 일을 분석할 때 어떠어떠하게 발전해 갈 것이라는 예측대로 그 결과가 들어맞는 것을 칭찬해 일컫는 말이다.




[[분류:한자]][[분류:고사성어]]
[[분류:한자]][[분류:고사성어]]

2015년 10월 28일 (수) 16:19 기준 최신판

百發百中 백발백중[편집]

   일백 백      필 발      일백 백      가운데 중  

백발백중(百發百中) 관련 설명[편집]

쏘는 대로 꼭꼭 맞음  총, 활 같은 것이 겨눈 곳에 꼭꼭 맞는다. 

앞서 예측한 일들이 꼭꼭 들어 맞다. 전국시대 때 초나라에 활 잘 쏘는 사람이 있었는데 양유기라고 불렀다. 그는 활 쏘는데 남달리 뛰어난 재주가 있었다.

백 보나 되는 먼 거리에서도 삼사 푼밖에 안 되는 버들잎들을 꼭꼭 쏘아 맞추곤 했다. 따라서 어느 버들잎이라도 가리켜 맞추라면 그를 겨냥하여 쏘아, 날아가는 화살은 귀신이 곡할 정도로 명중시켰다.

그리하여 주위 사람들이 그의 활 솜씨를 가리켜 백보천양 또는 백발백중이란 말로 그의 절기를 칭찬하였다. 이것은 사기에 기록된 고사로서 무슨 일을 할 때 절대적인 자신이 있거나, 어떤 일을 분석할 때 어떠어떠하게 발전해 갈 것이라는 예측대로 그 결과가 들어맞는 것을 칭찬해 일컫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