指鹿爲馬 지록위마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 지록위마(指鹿爲馬) 관련 설명 ==
== 지록위마(指鹿爲馬) 관련 설명 ==
  웃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휘두른다는 뜻   
  웃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휘두른다는 뜻  진(秦)나라 시황제(始皇帝)의 37년 7월에, 시황제는 순행하는 도중에 사구의 평대에서 죽었다. 그는 북쪽 변방을 지키고 있던 장자인 부소에게 보낸 편지에서, <급히 도읍인 함양으로 돌아가 장례를 행하라>하는 조서를 남기고 있었다. 그러나 이 조서는 환관인 조고의 손에 들어갔다. 그로서는 야심을 실현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그는 오직 홀로 순행을 따라 온 시황제의 아들 호해를 설복하고, 승상인 이사를 협박하여, 시황제의 시체를 숨긴채로 도읍으로 돌아오자, 거짓 조서를 꾸며 부소에게 죽음을 내리고, 호해를 제위에 즉위하게 했다. 이것이 이세 황제이다.  조고는 점차로 이세 황제를 정치에서 멀리하고, 방해자인 이사를 죽음으로 몰아넣고, 스스로 중승상이 되어 권력을 마음대로 휘둘렀다. 그러나 조고의 야심은 그칠 줄 몰랐다. 조고 자신이 이세 황제를 대신하려고 도모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조고는 모반을 일으키려고 생각했지만, 여러 신하들이 따라 주지 않을 것을 두려워하여, 이에 먼저 시험을 해보려고, 사슴을 가지고 이세 황제에게 드리면서 말했다.“이것은 말입니다.”이세 황제는 웃으면서 말했다.“승상이 잘못 본 것이오.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하오?”하며 좌우에 있는 중신들에게 물었다. 좌우에 있던 사람중 어떤 자는 잠자코 말하지 않고, 어떤 사람은 말이라고 말하여 조고에게 아첨하여 따르고, 어떤 사람은 사슴이라고 말하였다. 조고는 인하여 은근히 사슴이라고 말한 모든 사람들을 법으로써 죄에 빠지게 했다. 그러자 뒤에 여러 신하들은 모두 조고를 두려워하게 되었다.그러나 이 무렵에는 반란이 전국에서 불타오르고 있었다. 이것을 수습할 수 없는 도적으로서 2세를 속여 온 조고도, 진실을 숨기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조고는 책임을 하문할 것이 두려워 2세를 죽이고, 부소인 아들인 자영을 세워 진나라 왕으로 삼았다. 조고는 이 자영에게 죽임을 당하게 된다.이 故事에서 잘못을 강요하여 사람을 함정에 빠뜨리는 것, 또는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농락하는 것을 라고 말하게 되었다.
 
진(秦)나라 시황제(始皇帝)의 37년 7월에, 시황제는 순행하는 도중에 사구의 평대에서 죽었다.  
 
그는 북쪽 변방을 지키고 있던 장자인 부소에게 보낸 편지에서, <급히 도읍인 함양으로 돌아가 장례를 행하라>하는 조서를 남기고 있었다.  
 
그러나 이 조서는 환관인 조고의 손에 들어갔다. 그로서는 야심을 실현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그는 오직 홀로 순행을 따라 온 시황제의 아들 호해를 설복하고, 승상인 이사를 협박하여, 시황제의 시체를 숨긴채로 도읍으로 돌아오자,  
 
거짓 조서를 꾸며 부소에게 죽음을 내리고, 호해를 제위에 즉위하게 했다.  
 
이것이 이세 황제이다.   
 
조고는 점차로 이세 황제를 정치에서 멀리하고, 방해자인 이사를 죽음으로 몰아넣고, 스스로 중승상이 되어 권력을 마음대로 휘둘렀다.  
 
그러나 조고의 야심은 그칠 줄 몰랐다.  
 
조고 자신이 이세 황제를 대신하려고 도모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조고는 모반을 일으키려고 생각했지만, 여러 신하들이 따라 주지 않을 것을 두려워하여, 이에 먼저 시험을 해보려고, 사슴을 가지고 이세 황제에게 드리면서 말했다.
 
“이것은 말입니다.”이세 황제는 웃으면서 말했다.
 
“승상이 잘못 본 것이오.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하오?”하며 좌우에 있는 중신들에게 물었다.  
 
좌우에 있던 사람중 어떤 자는 잠자코 말하지 않고, 어떤 사람은 말이라고 말하여 조고에게 아첨하여 따르고, 어떤 사람은 사슴이라고 말하였다.  
 
조고는 인하여 은근히 사슴이라고 말한 모든 사람들을 법으로써 죄에 빠지게 했다.  
 
그러자 뒤에 여러 신하들은 모두 조고를 두려워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무렵에는 반란이 전국에서 불타오르고 있었다. 이것을 수습할 수 없는 도적으로서 2세를 속여 온 조고도, 진실을 숨기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조고는 책임을 하문할 것이 두려워 2세를 죽이고, 부소인 아들인 자영을 세워 진나라 왕으로 삼았다.  
 
조고는 이 자영에게 죽임을 당하게 된다.
 
 
이 故事에서 잘못을 강요하여 사람을 함정에 빠뜨리는 것, 또는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농락하는 것을 라고 말하게 되었다.




[[분류:한자]][[분류:고사성어]]
[[분류:한자]][[분류:고사성어]]
부노트 bunote.com에서의 모든 기여는 cc-by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부노트 bunote.com: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 … × ÷ ¹ ² ³ ½ € † ← → ℃ ―</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ref>+</ref></charinsert> <charinsert><references/></charinsert>
<charinsert>{{풀기:+}}</charinsert> <charinsert></charinsert> <charinsert>#넘겨주기 [[+]]</charinsert> <charinsert>{{기본정렬:+}}</charinsert>
<charinsert>{{토막글|+}}</charinsert> <charinsert>{{IPA|+}}</charinsert> <charinsert>{{lang||+}}</charinsert> <charinsert>{{llang||+}}</charinsert>